본문 바로가기
남자의 건강

만성 위염과 급성 위염의 증상

by N잡하는 남자 2021. 8. 13.
반응형

위염 원인

위염 증상

위염은 위장의 감기라 불릴만큼 매우 흔하고 우리가 흔하게 걸리는 질병입니다.

위염은 위점막에 염증 세포의 침윤이 있는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병리학 용어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위점막에서 염증이 생긴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위염은 크게

급성위염과 만성위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급성위염

아스피린약과 같은 비스테로이드 진통제나 스테로이드 제제 같은 여러가지 항생제 등과 같은 약제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위염입니다. 또한 술을 마시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헬리코박터 균, 바이러스, 기생충, 세균 등과 같은 것들로 감염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알레르기나 강알카리, 염상 등의 부식제에 의해서도 위 점막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만성위염

만성 위염은 염증이 위에서 3개월 이상이나 지속되는 경우가 있는것을 말합니다. 담즙 역류, 독성 물질, 자가면역질환, 헬리코박터 균 등이 원이 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헬리코박터 균이 가장 흔하면서 중요한 원인입니다. 

 

위염 증상

위염 증상

명치 부위의 통증이나 복부 팽만감, 소화불량, 구역질, 식욕부진, 속 쓰림, 구토와 같이 매우 다양합니다.

급성 위염은 위에서 말한 여러 가지 증상이 동반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만성 위염은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 윗부분의 통증이나 식후의 복부 팽만감 같이 조기 포만감 같은 경우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검진 목적으로 위내시경을 받으신 후에 "위염이 조금은 있지만 증상이 없으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라고 들은 경우 대부분 만성 표재성 위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상복부에 통증, 특히 식사 직후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상복부에 눌리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이러면 메스껍고, 가슴이 답답하여 소화성 궤양이라는 질병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만성 위축성위염

명확하게 나타는 증상이 없기도 하여 그냥 평범한 소화 불량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고 난 후에는 소화가 잘되지 않는다는 느낌을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과신한 후에는 상복부에 불쾌감이나 복통같은 것들을 느끼며 식사 후에는 바로 배가 불러지고 압박감과 같은 것들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위염의 종류 2가지

위염은 급성 위염과 만성 위염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급성 위염은 내시경 상으로 볼때 위벽이 살짝만 벗겨진 정도를 미란성 위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위벽이 벗겨지면서 출혈이 생긴 경우에는 출혈성 위염이라고 합니다

 

만성 위염

만성 위염은 염증이 3개월 이상이나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또한 표재성 위염이랑 위축성 위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위점막은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으로 인하여 항상 자극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소의 염증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건강 검진으로 위내시경을 받으신 분들 중에서 만성 표재성위염이라고 적힌 결과지를 받아본 사람들이 많을 거라고 예상됩니다. 내시경상으로 위 표면에 불규칙적으로 나타난 발적이 있거나 붉은 줄의 빗살 모양으로 나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만성 위축성위염은 위ㅢ 염증이 오래되었기 때문에 혈관이 보일 정도로 위점막이 얇아진 경우를 말합니다.

위점막이 오랫동안 자극을 받아 원래 모습을 잃고 소장 점막이나 대장 점막 모양으로 변한 경우를 장상피화생이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장상피화생은 위암의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만성 위축성 위염은 위의 위축이 발생하는 부위와 발생 원인에 따라서 A형과 B형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A형은 자가면역력과 연관되어 발생하고 위의 체부를 나타납니다. B형은 주로 헬리코박터 균과 관련되어 있고 위의 전정부, 하단부에서 발생하기에 시간이 지나면서 체부 쪽으로 진행해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만성 위축성 위염은 대부분 B형 위염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